[React] 우린 왜 state, function, effect 순으로 작성했는가
비개발자가 급하게 react를 배워서 만든 프로젝트를 보면, 부트캠프, 국비, 전공자가 배운 보편적인 방식에 벗어난 경우가 생각보다 꽤 많습니다. 하나의 페이지 컴포넌트 안에 2천줄이 넘어가기도 하고, 하드 코딩된 로직도 많으며, 급하게 기능을 추가한 경우도 꽤 있기에 로직 순서가 꼬여있기도 합니다.제가 마주한 상황은 CRA 환경이었으며 eslint가 설정되어있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그렇다보니 state문, 글로벌 변수 선언, 함수 선언, effect문이 일정하게 모여서 작성되지 않고 여기저기 파편화가 되어있는 상태였습니다. 기능구현 입장에서 봤을 땐 크게 문제가 안될 수도 있습니다. 어쨌든 선언문이 호출보다 앞에 작성되었으니까요.const PageComponent = () => { const [a..
React 아키텍쳐, 디자인 시스템, 파일 구조에 대한 고찰
반년일기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리액트에 대한 한계점에 매일 매일 도달했다. 무엇보다 퍼블리싱과 기능 구현을 동시에 진행하려는 욕심에, 대충 짜놓았던 디렉토리 구조가 무너지는 느낌, 가뜩이나 어수선한 프로젝트가 더 어수선해지는 기분이었다. 그때 현 회사 사수가 디자인 시스템에 대해 꼭 공부 할 필요가 있다고해서 무작정 코드부터 작성하려는 급한 마음을 잠시 내려놓고, 아키텍쳐, 디자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리액트 디렉토리 구조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해 공부를 해보려고한다 1. 현재 상태 아래 이미지는 현재 플젝 리액트 디렉토리 구조다 가장 크게 client, db, doc, server로 나눈 상태고 나는 client를 담당하고 있다 client의 핵심 상위 폴더는 assets, components,..